2013년 KBS 한국어능력시험 일정 |
. |
1. |
2013년 시험일정 |
회 차 |
접수기간 |
시험일 |
성적발표일 |
제29회 |
1. 7~2. 1 |
2. 16 |
2. 28 |
제30회 |
4. 1~26 |
5. 12 |
5. 23 |
제31회 |
7. 8~8. 2 |
8. 18 |
8. 29 |
제32회 |
9. 9~10. 4 |
10. 20 |
10. 31 |
※ |
접수시작일 오전 0시부터 접수마감일 오후 10시까지 온라인접수만(klt.or.kr) 가능합니다. |
※ |
성적표는 별도 발송하지 않으며, KBS한국어능력시험 홈페이지(klt.or.kr)에서 인쇄 가능합니다. |
※ |
시험 일정은 시행처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 |
. |
2. |
출제 기준 |
① |
출제 방식 : 객관식 5지택1형 80~100문항 |
② |
출제 배점 : 문항당 균일 배점이 원칙이나 필요시 차등 배점 |
③ |
출제 수준 : 한국의 고교 수준의 국어교육을 정상적으로 받은 사람이 풀 수 있는 수준 |
. |
3. |
출제 영역 |
① |
문법 능력 : 어휘, 어법 |
② |
이해 능력 : 듣기, 읽기 |
③ |
표현 능력 : 쓰기, 말하기 |
④ |
창안 능력 : 창의적 언어능력 |
⑤ |
국어 문화 능력 : 국어 교과의 교양적 지식 |
. |
4. |
시험 시간 |
① |
시험당일 09 : 30~12 : 00 |
② |
듣기ㆍ말하기 평가 25분(10 : 00~10 : 25) |
③ |
읽기 평가 95분(10 : 25 ~ 12 : 00) |
. |
5. |
지격증 및 성적 유효기간 |
① |
등급 : 1급, 2+급, 2-급, 3+급, 3-급, 4+급 |
② |
성적 조회 개시일로부터 2년간 유효 |
. |
6. |
자격취득자 우대사항 |
① |
자격기본법에 의거해 국가자격취득자와 동등한 대우 및 혜택 |
② |
교육과학기술부 훈령에 의거해 학교생활기록부에 등재, 입시에 반영 |
③ |
경찰공무원, KBS, EBS, 대한주택공사, 일반 기업체 등 채용시험 필수자격 또는 가산점 인정 |
. |
7. |
시험의 특징 |
① |
국가공인의 검정시험 |
㉠ |
자격공인법에 근거한 국가공인 자격 |
㉡ |
국어기본법에 근거해 시행되는 시험 |
㉢ |
국립국어원이 공공성을 인정하고 지원하는 시험 |
② |
정밀한 언어 수행 능력의 측정을 목표로 하는 시험 |
㉠ |
다양한 언어 사용 영역을 총체적으로 평가하는 시험 |
㉡ |
실제 언어 사용 환경을 적극적으로 반영한 실용성 높은 시험 |
③ |
등급제 반영으로 실제 언어 수행 능력을 측정할 수 있는 시험 |
㉠ |
실제 언어 수행 능력을 반영한 등급제 시스템을 보유한 시험 |
㉡ |
과학적인 분석시스템을 갖춘 시험 |
. |
8. |
시험의 구성 |
① |
효과성과 유창성 : KBS한국어능력시험은 국어 능력의 효과성과 유창성을 측정하기 위해 국민이 다양한 교육과 경험을 통하여 습득한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 등의 우리말 사용 능력을 범교과적인 제재를 활용하여 측정합니다. |
② |
정확성 : 정확한 언어 사용은 효과적이고 유창한 언어 사용, 창의적 언어 사용의 기반이 됩니다. 기존 시험들(대입 수능 등)이 정확성 측정에는 소홀하고 학교 문법 교육이 부실하기 때문에 KBS한국어능력시험은 문법(어휘, 어법) 영역 측정의 비중을 높였습니다. |
③ |
창의성 : KBS한국어능력시험은 다른 국어 관련 시험에서 집중적으로 다루지 않은 <창안 능력>과 <국어문화 능력>을 강화하여 별도의 영역으로 설정하였습니다. 이러한 영역을 독립적으로 설정한 것은 자국어능력시험이 추구해야 할 목표는 외국어능력시험과는 달라야 한다는 철학을 반영했기 때문입니다. 외국어능력시험이 의사소통의 기능적인 측면을 중요시한다면, 자국어능력시험은 이보다 한 단계 더 높은 창의적 언어능력과 우리 언어문화에 대한 교양적인 능력을 측정하는 수준까지 나아가야 한다는 것이 KBS한국어능력시험의 생각입니다. |
. |
9. |
출제 영역별 세부 내용 |
① |
문법 능력(어휘력, 어법) |
㉠ |
모든 국어 능력의 기초는 어희력과 문법(어법) 능력 이 능력은 언어의 4대 기능이라고 하는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능력의 기초가 되는 능력입니다. 풍부한 어휘를 정확하게 사용하고 문법을 정확하게 구사하는 문법 능력이 뛰어나면 바르고 교양 있게 말하고 듣고 읽고 쓸 수 있습니다. |
㉡ |
어휘력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에 대한 이해 및 표현 능력을 측정하며, 4대 어문 규정, 즉 <한글 맞춤법+표준어 규정+외래어 표기법+로마자 표기법>에 대한 이해 능력을 측정합니다. 또한 외국어가 범람하는 어려운 전문 용어가 그대로 사용되는 오늘날의 언어 현실을 반영하여 순화어 관련 문항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와 더불어 한자(漢字)에 대한 이해 및 사용 능력도 측정하고 있습니다. |
② |
이해 능력(듣기, 읽기) |
㉠ |
듣기 능력 듣기 능력은 인간의 의사소통에 가장 기본이 되는 영역입니다. 교양인은 자기 말을 앞세우기보다 상대방의 말을 주의 깊게 잘 경청하는 사람입니다. 이 영역은 강의, 강연, 뉴스, 토론, 대화, 인터뷰 자료 등 다양한 구어 담화를 듣고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 |
읽기 능력 읽기 능력은 다양한 텍스트를 주고 글에 대한 사실적 이해, 추론적 이해, 비판적 이해 능력을 측정합니다. 텍스트는 문예 텍스트, 학술 텍스트, 실용 텍스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문예 텍스트 |
학술 텍스트 |
실용 텍스트 |
문학ㆍ정서 표현의 글 |
인문, 사회, 과학, 예술 |
기사문, 보고서, 설명서, 편지글, 다매체 텍스트 |
추리ㆍ상상적 이해력 |
논리ㆍ비판적 이해력 |
사실ㆍ분석적 이해력 | |
③ |
표현 능력(쓰기, 말하기) |
㉠ |
쓰기 능력 논술 방식처럼 글쓰기를 통해 주관식으로 평가하여야 하고, 말하기 능력도 직접 말하는 것을 평가하여야 합니다. 그러나 현재는 대규모 인원이 응시하여 시험 운영과 관리의 제약 때문에 객관식으로 쓰기와 말하기 능력을 측정하고 있습니다. 쓰기 능력은 다양한 글을 쓸 때 거치는 <주제 선정 → 자료 수집 → 개요 작성 → 집필 → 퇴고>의 일련의 과정을 잘 이해하고 실습해 본 사람이면 누구나 풀 수 있도록 쓰기 과정별로 문항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
㉡ |
말하기 능력 발표, 토론, 협상, 설득, 논증, 표준화법(언어예절, 호칭어와 지칭어 사용 등) 등의 다양한 말하기 상황과 관련된 능력입니다. 정확한 발음과 관련하여 표준발음법 관련 문항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는 국민의 발표 능력, 토론 능력, 설득 및 협상 능력이 매우 부족하다는 지적을 반영한 것입니다. |
④ |
창안 능력(창의적 언어 능력) |
창안 능력은 넓게 보면 쓰기나 말하기 능력에서 창의적ㆍ독창적 아이디어를 만들어내는 능력을 말합니다. 즉 언어를 창의적으로 사용하는 능력을 측정하는 것입니다. 창의적인 표어를 제작하거나, 글을 읽고 감동적이거나 인상적인 제목을 만들거나 추출할 수 있는 능력, 기타 창의적 사고력을 기반으로 각종 언어 사용에서 아이디어를 창안하는 능력, 비유법과 관련한 창의적 수사법, 고사성어와 속담 등을 활용한 표현 능력 등을 측정할 것입니다. |
⑤ |
국어 문화 능력(국어 교과의 교양적 지식) |
국어 문화 능력은 기존 국어 시험들에서 배제되어 온 국어와 관련된 교양 상식에 대한 이해 능력입니다. 기존 국어 시험들은 듣기, 읽기 기능 중심의 평가로 이해력, 사고력 평가에 치우치고 국어 교과상의 지식들은 배제해 왔습니다. 그러나 본 시험에서는 국어학이나 국문학에 대한 지식들도 국어 능력의 고급문화 능력으로 함양되어야 할 것으로 보아 이를 측정하고 있습니다. |
. |
10. |
kBS한국어능력시험의 활용 범위 |
응시 영역 |
대 상 |
활 용 |
공무 영역 |
공사 지원자 및 종사자 |
자기점검, 임용, 승진 |
군인ㆍ경찰 영역 |
경찰, 군간부 지원자 및 종사자 |
자기점검, 임용, 승진 |
교사ㆍ강사 영역 |
자기점검, 교원 및 강사 채용 |
자기점검, 교원 및 강사 채용 |
청소년 영역 |
중ㆍ고등학교 학생 |
자기점검,특목고ㆍ대학 진학 |
언론 영역 |
언론사 지원자 및 종사자 |
자기점검, 채용 및 승진 |
직무 영역 |
일반 회사 지원자 및 종사자 |
자기점검, 채용 및 승진 |
외국인 영역 |
국내 거주 외국인 |
자기점검, 외국인 근로자 채용 | |
. | |